 |

|
1세대 인터넷주소 : 아이피 주소(IP address)
점(.)으로 구분되어 4단계로 표시되는 기계어(Machine Address) 형태의 초기 인터넷주소
12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며 일정한 규칙이 없는 체계로 기억하기 어려워 인터넷 이용 활성화의 걸림돌로 작용
2세대 인터넷주소 : 영문도메인(Domain Name)
영문자(a-z), 숫자(0-9), 하이픈(-) 조합으로 구성된 주소체계
IP에 비해 기억하기 쉬운 일상언어(Human Language) 주소로 영어권을 중심으로 전자정부?전자상거래 활성화에 기여
비영어권 국가에서는 인터넷 활성화와 정보격차 해소에 여전히 장애 요소로 작용
2.5세대 인터넷주소 : 다국어도메인(IDN :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
‘한글.com’, ‘한글.kr’, ‘中國.net’ 등의 형태로 영문 도메인에 자국어 표기를 허용한 주소체계
과도기 형태의 주소체계로 언어 변환을 해야 하는 어려움과 해당 서비스 이용을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
3세대 인터넷주소 : 한글인터넷주소
최상위 도메인(.com, .net, .kr 등) 없이 한글로 상호명, 상품명, 서비스명, 개인실명, 각종 기념일 등의 실명 그대로를 인터넷주소로 사용
DNS 기반의 서비스로 OS와 각종 Application에 독립적이며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사용 가능
|
|